출판

336__세종때 금속활자-- 한국뉴스신뢰도, 뚱보강사 이기성,한국전자출판교육원장,경기60회칼럼

이기성 2021. 7. 6. 14:31

==

336__세종때 금속활자-- 한국뉴스신뢰도뚱보강사 이기성,한국전자출판교육원장,경기60회칼럼

 

=

336__세종때 금속활자-- 한국뉴스신뢰도뚱보강사 이기성,한국전자출판교육원장,경기60회칼럼

https://kg60.kr/cmnt/2342/boardInfo.do?bidx=777858 

 

경기고 60회 동기회

336__세종때 금속활자 뉴스

kg60.kr

====

 

336__세종때 금속활자-- 한국뉴스신뢰도뚱보강사 이기성,한국전자출판교육원장,경기60회칼럼

 

-

336__세종때 금속활자--한국뉴스신뢰도-----12ok

뚱보강사 이기성

 

 

 

336__세종때 금속활자 뉴스

 

 

국민대 이은형 경영대학장이 만든 표 이슈별 MZ세대의 가치관을 보면 기존세대와 MZ세대의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기존세대는 시키는 대로 따라야 하던 상사 지시를 MZ세대는 이유는 알고 따라야 한다. 회사의 발전은 나의 발전이다 나와는 별도다’. 일이냐? 개인이냐? 일이 먼저고, 개인은 나중이다 개인이 먼저고, 일이 나중이다 부서 회식은 업무의 연장이다 점심 때, 비싼 걸로 디지털 발전은 낯설고 두렵다 신나고 편하다 임원 승진은 가능한 한 목표다라는 기존세대와 달리 MZ세대는 얼마나 오래 다닐까?’이다.

 

한국 뉴스 신뢰도, “드디어 꼴찌 벗어났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디지털 뉴스리포트 2021’ 한국 46개국 중 공동 38. 허위정보 출처에 언론인 및 언론사 응답률은 여전히 다른 국가에 비해 높다. [미디어오늘]의 정철운 기자가 보도했다(2021-6-23). 영국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수행한 디지털 뉴스리포트 2021’ 조사 결과 한국이 조사대상 46개국 가운데, 뉴스 신뢰도 공동 38위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도, 지지난해에도 최하위였지만 이번에는 신뢰도가 눈에 띄게 오르며 꼴찌라는 오명에서 벗어났다.

 

 

한국 뉴스 신뢰도

 

한국은 올해 뉴스 전반에 대해 신뢰한다는 응답률이 32%로 그리스, 필리핀 등과 함께 공동 38위로 나타냈다. 46개국 평균 신뢰도는 44%였다. 신뢰도가 가장 높은 국가는 핀란드(65%)였으며, 가장 낮은 국가는 미국(29%)이었다. 한국은 2016 22%, 2017 23%, 2018 25%, 2019 22%, 2020 21%로 매년 최하위권이었으나 이번 조사에선 32%p로 신뢰도가 상승했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선정한 한국 주요 15개 매체에 대한 신뢰도 조사 결과에선 YTN 56% 1, JTBC 55% 2, MBC 53% 3위를 기록했다. KBS 52% 4위에 그쳤다. 뉴스 불신도는 조선일보가 40% 1, TV조선이 38% 2, 동아일보가 34% 3, 중앙일보가 34% 4, 채널A 31% 5위였다. 한국의 경우 정치적 성향이 보수인 경우 뉴스가 전반적으로 공정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28%(46개국 평균 38%)였으며, 진보의 경우는 36%(46개국 평균 42%)였다.

 

지난 한 주 간 어떠한 주제의 허위정보를 접했는지 물어본 결과, 한국 응답자들은 정치(51%), 코로나19(46%), 유명인(38%), 기후변화·환경(15%)의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46개국 전체로는 코로나19(54%), 정치(43%), 유명인(29%), 기후변화·환경(20%) 순으로 허위정보를 접했다고 답해 한국과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 관련 허위정보 경로로 우려되는 미디어 플랫폼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유튜브(34%)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46개국 평균으로는 허위정보 경로로서 페이스북(28%)에 대한 우려가 가장 높았다.

 

올해 처음 조사한 언론의 중립성과 관련한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의 이용자들은 언론이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는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한국은 네이버 같은 검색 엔진 및 뉴스 수집 사이트를 통해 주로 온라인 뉴스를 이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72%, 지난해와 동일하게 조사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한국 이용자들은 소셜미디어 플랫폼 가운데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는 비율이 44%로 가장 높았다. 이는 46개국 평균 29%보다도 15%p나 높은 수치였다. 이는 유튜브에서 등장하는 허위정보에 한국사회가 더욱 민감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의미다. [참고] 이번 조사는 영국의 설문 조사 전문업체인 유고브(YouGov)가 맡아 이메일을 통한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2021 113일부터 29일까지 진행했다. 한국에서의 응답자 수는 2006명이었다.

 

 

훈민정음 시기 한글 금속활자

 

[한글 금속활자 발견] 탑골 공원과 종로 YMCA 사이에서 발굴된 유물 중 가장 큰 관심을 끄는 것은 금속활자다. 한자 활자 1천여 점과 한글 활자 600여 점이 나왔다. 조선 전기의 다양한 금속활자가 한곳에서 발견된 첫 사례로, 구텐베르크가 1440년대 서양 최초로 금속활자와 인쇄술을 개발할 무렵 제작한 것으로 판단되는 유물이 포함됐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는 제작한 해의 육십갑자를 이름으로 붙이는데, 1434년 제작했다는 갑인자(甲寅字)를 비롯해, 1455년에 만든 을해자(乙亥字), 1465년 활자인 을유자(乙酉字)로 보이는 유물이 확인됐다.

 

이번에 발굴된 금속활자에 대한 뚱보강사의 이야기를 잠깐 살펴보고 진행하자. 제일 먼저, 뚱보강사 칼럼 ‘#163__ 1962년 고딩 이야기’. 지금부터 59년 전, 2 . 우리가 한참 인생을 알기 시작할 무렵 이야기, 유치하지만, 59년 전에 뚱보강사가 일기에 적었던 실제 기록이기에 조금만 공개하려고 한다. 세복형, 형국형, 철식이형, 하늘에 있는 일기형, 문규형 ... 용서해 주겠지? 고딩 때 에버그린 문예클럽을 만들어서 상록(에버그린)’이라는 문예지를 발간했다. 한 달에 한번 나오는 주간경기 신문은 민중서관 출판사의 인쇄 공장에서 금속활자 조판으로 발행했지만, 우리 클럽잡지 상록은 등사기를 사용한 인쇄(프린트) 방식으로 인쇄했다. 민중서관은 사전을 잘 만드는 출판사로 유명했다. 당시 등사용 원지(초를 입한 종이)와 줄판에 글자를 쓰는 철필 등 재료값은 75. 프린트는 도서출판 장왕사에 가서 등사기로 밀었다... ... 서기 1962, 단기 4295년 임인년(호랑이해). 8월 여름방학 기간... 뚱보강사가 경기고등학교 2학년 학생 때. 기계체조부와 신문반에 들고 있었다. 상록(EVERGREEN)이라는 문예클럽 소속. 라디오 시절. 서울 시내에 전차가 다니던 시절. 상록 클럽 정회원은 형국, 일기, 세복, 문규, 뚱보강사. 사실 여부는 경기 60회의 천재 김평일 박사의 감정을 받으면 확인될 것이다.

 

두 번째, 뚱보강사 칼럼 ‘#128__ 면죄부와 구텐베르크’. 구텐베르크( 1394(1397)~1468) 1450년경 면죄부와 1455년 성경을 금속활자로 인쇄했다. 금세공 기술자였던 구텐베르크와 그 조수 페터쉐퍼가 금속활자를 개발하고 운영하던, 인쇄소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성경을 인쇄하여 번 돈이 아니라, 교황청에서 주문한 대량의 면죄부 인쇄 덕분이었다. 교황 니콜라오 5(재위 1447~1455) 때인 1450년경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로 면죄부 인쇄를 인쇄하게 된 것은, ‘교황청 생각에도 금속활자를 사용하는 인쇄 방법이 잘 팔리는 면죄부를 대량으로 제작하는데, 적합한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교황청은 의 위치인 대기업답게, ‘인 구텐베르크에게 면죄부 인쇄대금 지불을 제 때에 해주지 않았다. 구텐베르크는 인쇄공 임금과 종이 값을 사채를 빌려서 우선 지불했는데, 교황청이 인쇄 대금을 주질 않아서, 사채 빚을 기일 내에 갚지 못해, 유태인 사채업자 요한 푸스트에게 소송을 당한 재판 기록이 남아 있다.

 

세 번째, 뚱보강사 칼럼 ‘#262__직지, 남명증도가, 위즈덤하우스’. 1377년 인쇄된 직지심체요절 책보다 남명천화상송증도가 책이 138년 더 빨리 인쇄된 책이라는 새로운 주장이 나왔다. 이준엽 [불교신문] 광주·전남지사장은 2021 4 16일에 송광사 수선사는 세계최초 금속활자 발원지라고 새로운 학설을 보도했다. 불교서지학자 박상국 석좌교수(동국대) 무신정권 도움으로 최초 금속활자본 남명증도가가 간행됐다고 주장했다. 신라시대 선종사찰 범종과 철조 불상에 새긴 명문 등 주물로 활자를 주조한 기술을 바탕으로, 사찰에서 금속활자본 책을 인쇄하게 됐으며, 고려 수선사에서 고려 23대 고종(재위 1213~1259) 때인 1239년에 간행한 공인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이하 남명증도가)가 세계최초 금속활자 인쇄물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네 번째, 뚱보강사 칼럼 ‘#282__ 뉴욕의 갑인자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 책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만들고 난 뒤에 사별한 부인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고자 1447년에서 1448년 사이에 국비가 아니고, 세종의 개인 돈으로 만든 책이다. 처음으로 한글 금속활자로 찍어낸 책이라는 점에서도 특별한 의미가 있다.

 

*** 금속활자 관련 연대표(1239~1455) ***

1. 1239(고려 고종) 남명천화상송증도가(<<남명증도가>>) .

2. 1377(고려 우왕) 직지심체요절(<<직지>>, <<직지심경>>) .

3. 1434(조선 세종) ‘갑인자 제작. ‘금속활자 제작에 장영실 참여.

4. 1440년 경. 구텐베르크(1394~1468) 금속활자 인쇄 책.

5. 1447~1448(조선 세종) 월인천강지곡 한글 금속활자 인쇄 책.

6. 1448(조선 세종) 동국정운 (한글 금속활자 + 한자 금속활자).

7. 1450년 구텐베르크 면죄부 인쇄.

8. 1455(조선 세조) 금속활자 을해자 제작.

 

[경향신문] 김종목 기자가 훈민정음 시기의 한글 금속활자 최초 발굴 기록만 나온 세종의 천문시계 등’... 보도했다(2021.06.29.). 훈민정음 창제 시기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 한글 금속활자 실물을 옛 한양 중심부에서 처음으로 찾았다. 세종 때(추정) 천문시계, 세종~중종 때(추정) 물시계 주전, 소형화기인 총통 등도 발굴했다. 수도문물연구원(이하 연구원) 조선 전기 제작된 다양한 크기의 한글·한자 금속활자’ 1600여 점과 자동 물시계 주전(籌箭)으로 보이는 동판(銅板)과 구슬방출기구, 세종이 만든 것으로 기록된 주·야간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부품 등을 출토했다 29일 발표했다. 발굴 현장은 지금 탑골 공원과 종로 YMCA 사이로 옛 한양 중심부다. 금속활자와 주전은 도기항아리 안에서, 일정성시의 부품은 항아리 옆에서 나왔다.

 

한글 금속활자 발굴의 의미는 ’, ‘’, ‘ 등 동국정운식 표기를 확인했다는 점이다. <동국정운(東國正韻)>은 세종 때 신숙주, 최항, 성삼문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여 1448년에 간행한 운서(韻書). 중국 한자음을 표기하려 사용한 것이다. 한문 사이 자주 쓰는 이며’, ‘이고 등 한글 토씨를 한 번에 주조한 연주활자(連鑄活字) 10여 점 나왔다. 연구원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를 반영한 가장 이른 시기의 한글 금속활자라고 했다.

 

발굴한 1600여 점의 금속활자 중 한자 활자는 580여 점이다. 현존 최고(最古) 한자 금속활자인 세조 을해자(1455)’보다 20년 이른 세종 갑인자(1434)’로 추정한다. 장영실 등이 갑인자 제작에 참여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 시기(1450년경)보다 이른 시기의 조선활자 관련 유물은 인쇄본으로만 존재하는데, (확인되면) 최초로 인쇄본과 금속활자를 동시에 확보하게 된다고 했다.

 

일성정시의는 밤에는 해를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을 보완해 별자리를 이용하여 시간을 가늠한 천문시계다. <세종실록> 1437(세종 19) 세종이 4개의 일성정시의를 만든 것으로 기록했다. 출토 유물은 일성정시의 중 주천도분환(周天度分環), 일구백각환(日晷百刻環), 성구백각환(星晷百刻環) 등 주요 부품이다. 연구원은 승자총통(1583) 1, 소승자총통(1588) 7점 등 총 8점의 소형화기 총통도 찾았다.

 

 

[참고]

[미디어오늘] 정철운 기자, 2021.06.23.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030&fbclid=IwAR0FeG7iIjLPFQArB6jknxQ7dT9DBLn5Yvyy_JGaTn46dmxWltlI_CzBD7I

[참고]

[경향신문] 김종목 기자입력 : 2021.06.29

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106290902001/?nv=stand&utm_source=naver&utm_medium=newsstand&utm_campaign=sub_thumb2&utm_content=202106290902001&C

 

-

 

===

 

336__세종때 금속활자-- 한국뉴스신뢰도뚱보강사 이기성,한국전자출판교육원장,경기60회칼럼

==

https://kg60.kr/cmnt/2342/boardInfo.do?bidx=777858 

 

경기고 60회 동기회

336__세종때 금속활자 뉴스

kg60.kr

==

336__세종때 금속활자-- 한국뉴스신뢰도뚱보강사 이기성,한국전자출판교육원장,경기60회칼럼

 

==

 

336__세종때 금속활자-- 한국뉴스신뢰도뚱보강사 이기성,한국전자출판교육원장,경기60회칼럼

=